진료시간안내

목요일 오후는 휴진입니다. 일요일, 공휴일은 휴진입니다. (진료 상황에 따라 접수가 조기 마감될 수 있는점 양해 바랍니다.)

  • 평일진료시간 오전 09:00 ~ 오후 06:00
  • 점심시간 오후 01:00 ~ 오후 02:30
  • 목요일 오전 09:00 ~ 오후 01:00
  • 토요일 오전 09:00 ~ 오후 01:00

건강정보


건강칼럼

홈으로_건강정보_건강칼럼

Tel.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0 2 - 2 1 3 2 - 8 5 5 5

0 0 2 - 2 1 3 2 - 8 3 3 3

제목

식도암 위험 높이는 ‘이 질환’, 매일같이 속 쓰리다면 주의해야

음식을 먹은 후 곧바로 눕는 습관이 있거나,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위산이 역류하는 역류성 식도염 등의 질환을 앓기 쉬운데, 이러한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심해지면 ‘바렛 식도’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바렛 식도란 어떤 질환일까?속 쓰림을 유발하는 위산 역류가 잦으면 바렛 식도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식도의 세포 바뀌는 바렛 식도, 식도암 발병 위험 높인다바렛 식도(barrett's esophagus)는 위산이 지속적으로 식도로 역류해 식도의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화하는 질환으로, 1950년 이 질환을 보고한 영국의 외과의사 노먼 바렛(norman barrett)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식도와 위는 바로 이어져 있는 장기이지만, 둘을 구성하는 세포의 종류는 다르다. 건강한 식도의 점막은 편평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위 점막은 원주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식도가 위산에 오랜 시간 노출될 경우,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방어 기전이 약해지면서 식도의 편평상피세포 조직이 원주상피세포로 변화하는 바렛 식도가 나타날 수 있다. 위를 구성하는 원주상피세포는 식도의 편평상피세포보다 산성에 저항성이 강하기 때문에, 식도가 위산에 대응하기 위해 세포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바렛 식도가 나타난 경우 △속 쓰림 △가슴쓰림 △목이 쉬는 느낌 △목의 이물감 △연하곤란 △인후통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위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이기도 한 만큼, 증상만으로는 바렛 식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위내시경 검사와 조직 검사를 시행해 식도를 구성하는 세포가 변화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를 명확하게 진단하지 않은 채 단순한 위산 역류로만 생각하고 방치할 경우, 궤양이나 협착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는 피를 토하거나 체중 감소, 식욕 감소 등을 보이면서 일반적인 위식도 역류질환과 다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악성 종양인 선암종과 식도암이 발병할 위험도 높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바렛 식도가 있는 경우 정상인에 비해 식도암의 발병 위험이 약 30~40배 증가한다. 식도암은 전체 암 대비 발병률은 1.1% 정도로 낮지만, 5년 상대생존율이 42.8%로 예후가 좋지 않은 편에 속하는 만큼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위산 역류 예방이 최선의 예방법…발병시 합병증 예방위해 정기검진 필요바렛 식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산 역류를 유발하는 원인을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식사 후 바로 누우면 섭취한 음식물이 위와 식도의 연결 부위에 남으면서 쉽게 역류할 수 있고, 과식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이 평소보다 위에 오래 정체하면서 위산의 역류를 유발할 수 있다. 또 비만한 경우에는 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위산의 역류가 잦아질 수 있다. 따라서 식습관 관리와 운동을 통해 체중을 적정 범위로 관리하고,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될 수 있도록 식후 2~3시간은 눕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위와 식도의 점막을 자극하거나 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맵고 짠 음식 △신 음식 △커피 △술 △홍차 △초콜릿 △고지방 음식 등이 대표적이다. 대신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류를 충분히 먹고, 요리를 할 때는 기름에 튀기기보다는 삶거나 찌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이미 바렛 식도로 진단된 경우에는 식도암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만큼 내시경 검사와 조직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이외에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나 위식도 운동 촉진제를 사용한 약물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만약 약물 치료 후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나 위산 역류가 재발하는 경우, 식도 협착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에는 식도 확장술이나 내시경 절제술 등을 시행해 치료할 수 있다.

     

Quickmenu